본문 바로가기
SQLD

SQLD 2과목 SQL 기본

by <<>> 2021. 2. 22.

데이터 제어어(DCL: Data Control Language)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객체들을 사용하도록 권한을 주고 회수하는 명령어를 DCL이라고 부른다.

 

 

테이블 컬럼에 대한 정의 변경

  • [Oracle]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1 데이터 유형 [DEFAULT 식] [NOT NULL], 컬럼명 2 데이터 유형 …);
  • [SQL Server]
ALTER TABLE 테이블명 
	ALTER (컬럼명1 데이터 유형 [DEFAULT 식] [NOT NULL], 컬럼명2 데이터 유형 …);

 

 

NULL(ASCII 코드 00번)은 공백(BLANK, ASCII 코드 32번)이나 숫자 0(ZERO, ASCII 코드 48번)과는 전혀 다른 값이며, 조건에 맞는 데이터가 없을 때의 공집합과도 다르다. 'NULL'은 '아직 정의되지 않은 미지의 값'이거나 '현재 데이터를 입력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제약조건의 종류

  • PRIMARY KEY(기본키)
  • UNIQUE KEY(고유키)
  • NOT NULL
  • CHECK
  • FOREIGN KEY(외래키)

 

테이블 생성의 주의사항

  • 테이블명은 객체를 의미할 수 있는 적절한 이름을 사용한다. 가능한 단수형을 권고한다.
  • 테이블명은 다른 테이블의 이름과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 한 테이블 내에서는 컬럼명이 중복되게 지정될 수 없다.
  • 테이블 이름을 지정하고 각 컬럼들은 괄호 "( )"로 묶어 지정한다.
  • 각 컬럼들은 콤마 ","로 구분되고, 테이블 생성문의 끝은 항상 세미콜론 ";"으로 끝난다.
  • 컬럼에 대해서는 다른 테이블까지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내에서는 일관성 있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데이터 표준화 관점)
  • 컬럼 뒤에 디엍 유형은 꼭 지정되어야 한다.
  • 테이블명과 컬럼명은 반드시 문자로 시작해야 하고, 벤더별로 길이에 대한 한계가 있다.
  • 벤더에서 사전에 정의한 예약어(Reserved word)는 쓸 수 없다.
  • A-Z, a-z, 0-9, _, $, # 문자만 허용된다.

 

테이블의 불필요한 컬럼 삭제

ALTER TABLE 
	테이블명
DROP COLUMN 
	삭제할 컬럼명;

 

테이블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두 가지 유형

INSERT INTO 테이블명 (COLUMN_LIST) 
	VALUES (COLUMN_LIST에 넣을 VALUE_LIST);
INSERT INTO 테이블명
	VALUES (전체 COLUMN에 넣을 VALUE_LIST);

 

입력된 데이터의 수정

UPDATE 테이블명 
	SET 수정되어야할 컬럼명 = 수정되기를 원하는 새로운 값;

 

테이블에 입력된 데이터 조회

SELECT [ALL/DISTINCT] 보고 싶은 컬럼명, 보고 싶은 컬럼명, …
	FROM 해당 컬럼들이 있는 테이블명;

- ALL : Default 옵션이므로 별도로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중복된 데이터가 있어도 모두 출력한다.

- DISTINCT : 중복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1건으로 처리해서 출력한다.

 

 

TRUNCATE TABLE은 테이블 자체가 삭제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 테이블에 들어있던 모든 행들이 제거되고 저장 공간을 재사용 가능하도록 해제한다. 테이블 구조를 완전히 삭제하기 위해서는 DROP TABLE을 실행하면 된다.

 

 

트랜잭션의 특성

  • 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에서 정의된 연산들은 모두 성공적으로 실행되던지 아니면 전혀 실행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어야 한다. (all or nothing)
  • 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이 실행되기 전의 데이터베이스 내용이 잘못 되어 있지 않다면 트랜잭션이 실행된 이후에도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에 잘못이 있으면 안 된다.
  • 고립성(isolation) : 트랜잭션이 실행되는 도중에 다른 트랜잭션의 영향을 받아 잘못된 겨로가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
  • 지속성(durablity) :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그 트랜잭션이 갱신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은 영구적으로 저장된다.

 

테이블내 입력한 데이터나, 수정한 데이터, 삭제한 데이터에 대하여 COMMIT 이전에는 변경 사항을 취소할 수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롤백(ROLLBACK) 기능을 사용한다.

 

롤백(ROLLBACK)은 데이터 변경 사항이 취소되어 데이터의 이전 상태로 복구되며, 관련된 행에 대한 잠금(locking)이 풀리고 다른 사용자들이 데이터 변경을 할 수 있게 된다.

 

BEGIN TRANSACTION

(BEGIN TRAN 구문도 가능)으로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COMMIT TRANSACTION(TRANSACTION은 생략 가능)으로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ROLLBACK TRANSACTION(TRANSACTION은 생략가능)으로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ROLLBACK 구문을 만나면 최초의 BEGIN TRANSACTION 시점까지 모두 ROLLBACK이 수행된다.

 

저장점(SAVEPOINT)을 정의하면 롤백(ROLLBACK)할 때 트랜잭션에 포함된 전체 작업을 롤백하는 것이 아니라 현 시점에서 SAVEPOINT까지 트랜잭션으 ㅣ일부만 롤백할 수 있다.

 

[Oracle]

SAVEPOINT SVPT1;

...

ROLLBACK TO SVPT1;

 

[SQL Server]

SAVE TRANSACTION SVTR1;

...

ROLLBACK TRANSACTION SVTR1;

 

WHERE 절은 FROM 절 다음에 위치하며, 조건식은 아래 내용으로 구성된다.

- 컬럼(COLUMN)명(보통 조건식의 좌측에 위치)

- 비교 연산자

- 문자, 숫자, 표현식(보통 조건식의 우측에 위치)

- 비교 컬럼명(JOIN 사용시)

 

연산자의 우선순위

1. 괄호로 묶은 연산

2. 부정 연산자(NOT)

3. 비교 연산자 (=,>,>=,<,<=)와 SQL 비교 연산자(BETWEEN a AND b, IN (list), LIKE, IS NULL)

4. 논리연산자 중 AND, OR의 순으로 처리

 

NULL의 연산

- NULL 값과의 연산(+,-,*,/ 등)은 NULL 값을 리턴

- NULL 값과의 비교연산 (=, >, >=, <, <=)은 거짓(FALSE)을 리턴

- 특정 값보다 크다, 적다라고 표현할 수 없음

 

부정 비교 연산자

* != : 같지 않다.

* ^= : 같지 않다.

* <> : 같지 않다.

  (ISO 표준,모든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

* NOT 컬럼명 = : ~와 같지 않다.

* NOT 칼럼명 > : ~보다 크지 않다.

 

BETWEEN a AND b

a와 b의 값 사이에 있으면 된다.(a와 b 값이 포함됨)

 

IN (list)

리스트에 있는 값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일치하면 된다.

 

함수는 벤더에서 제공하는 함수인 내장함수(Built-in Function)와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는 함수(User Defined Function)로 나눌 수 있다.

내장 함수는 다시 단일행 함수(Single-Row Function)와 다중행 함수(Multi-Row Function)로 나눌 수 있으며, 다중행 함수는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 그룹 함수(Group Function), 윈도우 함수(Window Function) 구분된다.

 

DUAL 테이블의 특성

* 사용자 SYS가 소유하며 모든 사용자가 액세스 가능한 테이블이다.

* SELECT ~ FROM ~ 의 형식을 갖추기 위한 일종의 DUMMY 테이블이다.

* DUMMY라는 문자열 유형의 컬럼에 'X'라는 값이 들어 있는 행을 1건 포함하고 있다.

 

NULL의 특성

* 널 값은 아직 정의되지 않은 값으로 0 또는 공백과 다르다. 0은 숫자이고, 공백은 하나의 문자이다.

* 테이블을 생성할 때 NOT NULL 또는 PRIMARY KEY로 정의되지 않은 모든 데이터 유형은 널 값을 포함할 수 있다.

* 널 값을 포함하는 연산의 경우 결과 값도 널 값이다. 모르는 데이터에숫자르 더하거나 빼도 결과는 마찬가지로 모르는 데이터인 것과 같다.

* 결과값을 NULL이 아닌 다른 값을 얻고자 할 때 NVL/ISNULL 함수를 사용한다. NULL 값의 대상이 숫자 유형 데이터인 경우는 주로 0(Zero)으로, 문자 유형 데이터인 경우는 블랭크보다는 'x' 같이 해당 시스템에서 의미 없는 무자로 바꾸는 경우가 많다.

 

NULL 포함 연산의 결과

NULL +2 2+NULL,

NULL -2, 2-NULL,

NULL* 2, 2*NULL,

NULL/2, 2/NULL

의 결과는 모두 NULL이다.

 

NULL 관련 함수

* NVL(표현식1, 표현식2)

Oracle 함수

ISNULL(표현식1, 표현식2)

* SQL Server 함수

NULLIF(표현식1, 표현식2)

COALESCE(표현식1, 표현식2, ......)

 

GROUP BY 문장

SELECT [DISTINCT] 컬럼명 [ALIAS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GROUP BY 컬럼(Column)이나 표현식] [HAVING 그룹조건식];

 

GROUP BY 절과 HAVING 절의 특성

  • GROUP BY 절을 통해 소그룹별 기준을 정한 후, SELECT 절에 집계 함수를 사용한다.
  • 집계 함수의 통계 정보는 NULL 값을 가진 행을 제외하고 수행한다.
  • GROUP BY 절에서는 SELECT 절과는 달리 ALIAS 명을 사용할 수 없다.
  • 집계 함수는 WHERE 절에는 올 수 없다.(집계 함수를 사용할 수 있는 GROUP BY 절보다 WHERE 절이 먼저 수행된다.)
  • WHERE 절은 전체 데이터를 GROUP으로 나누기 전에 행들을 미리 제거시킨다.
  • HAVING 절은 GROUP BY 절의 기준 항목이나 소그룹의 집계 함수를 이용한 조건을 표시할 수 있다.
  • GROUP BY 절에 의한 소그룹별로 만들어진 집계 데이터 중, HAVING 절에서 제한 조건을 두어 조건을 만족하는 내용만 출력한다.
  • HAVING 절은 일반적으로 GROUP BY 절 뒤에 위치한다.

 

ORDER BY 문장

SELECT 컬럼명 [ALIAS명]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GROUP BY 컬럼(Column)이나 표현식] [HAVING 그룹조건식] [ORDER BY 컬럼(Column)이나 표현식 [ASC 또는 DESC]];

 

  • ASC(Ascending) : 조회한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기본 값이므로 생략 가능)
  • DESC(Descending) : 조회한 데이터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ORDER BY 절 특징

  • 기본적인 정렬 순서는 오름차순(ASC)이다.
  • 숫자형 데이터 타입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 가장 작은 값부터 출력된다.
  • 날짜형 데이터 타입은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 날짜 값이 가장 빠른 값이 먼저 출력된다. 예를 들어 '01-JAN-2012'는 '01-SEP-2012'보다 먼저 출력된다.
  • Oracle에서는 NULL 값을 가장 큰 값으로 간주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에,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가장 먼저 위치한다.
  • 반면, SQL Server에서는 NULL 값을 가장 작은 값으로 간주하여 오름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가장 먼저, 내림차순으로 정렬했을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다.

 

SELECT 문장 실행 순서

  1. 발췌 대상 테이블을 참조한다. (FROM)
  2. 발췌 대상 데이터가 아닌 것은 제거한다.(WHERE)
  3. 행들을 소그룹화 한다. (GROUP BY)
  4. 그룹핑된 값의 조건에 맞는 것만을 출력한다. (HAVING)
  5. 데이터 값을 출력/계산한다. (SELECT)
  6. 데이터를 정렬한다.(ORDER BY)

[TOP ( )예제]

사원 테이블에서 급여가 높은 2명을 내림차순으로 출력하는데 같은 급여를 받는 사원이 있으면 같이 출력한다.

 

SELECT TOP(2) WITH TIES ENAME, SAL FROM EMP ORDER BY SAL DESC;

 

EQUI JOIN 문장

SELECT 테이블1.컬럼명, 테이블2.컬럼명, ... FROM 테이블1, 테이블2 WHERE 테이블1.컬럼명1 = 테이블2.컬럼명2;

->WHERE 절에 JOIN 조건을 넣는다.

 

ANI/ISO SQL 표준 EQUI JOIN 문장

SELECT 테이블1.컬럼명, 테이블2.컬럼명, ... FROM 테이블1 INNER JOIN 테이블2 ON 테이블1.컬럼명 = 테이블2.컬럼명2;

-> ON 절에 JOIN 조건을 넣는다.

 

두 개 이상의 테이블 들을 연결 또는 결합하여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JOIN이라고 하며, 일반적인 경우 행들은 PRIMARY KEY(PK)나 FOREIGN KEY(FK) 값의 연관에 의해 JOIN이 성립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러한 PK, FK 의 관계가 없어도 논리적인 값들의 연관만으로 JOIN이 성립 가능하다.

 

 

댓글